우리 아이 건강을 위한 예방접종, 꼭 알아야 할 것들
예방접종은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도록 면역력을 키워주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우리 아이가 큰 병 없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영유아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 주의사항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예방접종은 무엇일까요? 생백신과 사백신
예방접종은 크게 생백신과 사백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백신은 살아 있는 병원체의 활동을 약하게 만들어 면역을 생성하게 하는데, BCG(결핵),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 백신이 이에 속합니다. 소아마비 백신도 예전에는 생백신이었지만, 요즘은 활동을 멈춘 사백신으로 접종합니다. 예방접종에는 기본접종과 권장접종이 있습니다. 기본접종에는 BCG(결핵), B형 간염, DPT(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홍역, 볼거리, 풍진(MMR), 일본뇌염 등이 포함됩니다. 권장접종에는 수두, Hib(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A형 간염, 폐구균, 독감(인플루엔자) 등이 있으며, 특히 수두와 Hib 백신은 꼭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 언제 해야 할까요?
예방접종은 아이가 건강한 상태일 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감기 증상이 있더라도 접종할 수 있지만, 아이 상태가 많이 안 좋을 때는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이가 미숙아로 태어났다면, 출생일을 기준으로 접종 시기를 잡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개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의해 맞는 시기를 정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예방접종 후에는 주사 맞은 곳이 붓거나 열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나아지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고열이 나거나 경련이 있는 경우에는 꼭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주요 예방접종의 특징과 주의사항
결핵(BCG)
결핵 예방접종은 생후 1개월 이내에 맞습니다. 만약 1개월이 지나서 맞아야 한다면 결핵반응 검사를 통해 음성일 때 접종하게 됩니다. 접종 부위가 붓거나 흉터가 생기는 경우도 많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B형 간염
B형 간염 백신은 출생 직후, 생후 1개월, 생후 6개월 이렇게 총 3번 맞습니다. 엄마가 B형 간염 보균자인 경우에는 출생 후 12시간 이내에 백신과 B형 간염 면역 글로불린을 함께 맞아야 하므로, 출산 전에 병원에 꼭 정보를 알려주세요.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DTaP)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는 모두 심각한 전염병이므로 예방접종이 필수입니다. 아이가 가벼운 감기라면 접종 가능하지만, 아픈 경우라면 접종을 미루는 게 좋습니다.
소아마비(IPV)
소아마비는 마비를 유발하는 병입니다. 경구용 생백신에서 비활성화 주사용 백신(IPV)으로 바뀌었고, 감염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여행하거나 환자를 돌보는 경우도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홍역, 볼거리, 풍진(MMR)
MMR 백신은 홍역, 볼거리, 풍진을 예방하며, 어린이들은 2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접종 이력이 불확실하거나 면역력이 약한 경우라면 성인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임산부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접종 전에 꼭 의사와 상담하세요.
수두
수두 예방접종은 12개월 이후 1회 접종합니다. 13세 이상이 접종할 경우에는 1~2달 간격으로 2회를 맞아야 합니다. 생백신이기 때문에, MMR 백신과 같은 주의사항이 적용됩니다.
폐렴구균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5세 미만 어린이에게 권장되며, 수막염이나 중이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아이의 나이와 건강 상태에 따라 접종 횟수가 달라질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아이 예방접종, 잘 챙겨요
아이에게 예방접종은 건강하게 자라는 데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 주의사항을 잘 이해하고, 이상 반응이 있을 경우에는 바로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예방접종 스케줄을 잘 챙겨보세요!
'앤이 알려주는 산모,엄마,아기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출산 지원금부터 육아휴직까지, 임산부 필수 정보! (3) | 2024.12.27 |
---|---|
산모와 아기를 위한 든든한 손길, 건강관리 지원사업 후기 (3) | 2024.11.24 |
아이들이 두통, 복통을 자주 호소한다면? 신체화 장애를 의심하세요 (3) | 2024.11.22 |
임신 중 이상적인 체중 증가, 산모와 태아 모두를 위한 건강관리 방법 (2) | 2024.11.15 |
초보 엄마를 위한 출산 준비 가이드: 걱정 없이 준비하세요! (3) | 2024.10.22 |